분류 전체보기1336 상수도공사 시험 및 검사 ■ 상수도공사 시험 및 검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상수도관의 세척 및 갱생 공사 후에 적용하는 시험 및 검사의 일반적인 사항을 규정하며, 세부적인 사항은 해당 공사시방에 따른다. 1.2 참고기준 내용 없음. 1.3 용어의 정의 (1) CCTV는 관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폐쇄회로 TV로서 자주식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고, 녹화 및 인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장치를 말한다. (2) 라이너는 기존관 벽 내부 면에 밀착되어 기존관과 일체화되어 녹물과 누수를 방지하는 라이닝 재료를 말한다. (3) 들뜸은 기존 관벽에 제대로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경화된 라이너의 불량 부분을 말한다. 2. 자재 (1) 장비 및 구성품 시험 및 검사에 사용되는 장비.. 2017. 11. 1. 상수도 갱생공사 ■ 상수도 갱생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시방서는 기존관의 개량을 위한 갱생공사에 적용한다. (2) 공사는 관련 법령기준 및 제반규격, 규정 등에 적합하여야 하며, 먹는 물로 사용 시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한다. (3) 관 갱생공사는 구조적으로 아직 사용가능한 주철관 및 도복장강관의 내부 스케일을 세관공사로 제거한 후 기존 도장재를 제거하고 고품질의 라이닝을 위한 표면처리를 한 후, 관 내면에 보호피막 등을 형성시키기 위한 라이닝 등을 시행하여 관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키는 공사이다. (4) 관의 갱생공법에는 종류가 많으며 각각 적용관경과 사용재료 등 시공상의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갱생 공법을 선택할 때에는 기존관로의 상황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관하여 충분히 조사하고 관망 기술진.. 2017. 11. 1. 상수도 세척공사 ■ 상수도 세척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시방서는 기존관의 수질개선을 위한 관 내부 세척공사에 적용한다. (2) 세척공사의 적용범위는 구조적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송•배•급수관 및 옥내급수관을 대상으로 한다. (3) 세척공사의 공법선정은 관의 노후상태 진단결과에 따라 결정하며, 공사감독자(건설사업관리자)와 시공자가 협의하여 적용공사를 결정할 수 있다. (4) 공사는 관련 법령기준 및 제반규격, 규정 등에 적합하여야 하며, 먹는 물로 사용시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한다. (5) 세척공법은 주로 심미적인 수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질착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연질의 관내 침전물 또는 슬라임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녹 또는 경질의 부식생성물 등을 완전히 제거하여 수질개선을 하는데 사용된다... 2017. 11. 1. 상수도 기존관의 세척 및 갱생공사 일반사항 ■ 상수도 기존관의 세척 및 갱생공사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시방서는 기존에 설치된 송•배•급수관 및 대형건물 옥내급수관의 세척 및 갱생 공사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이 시방서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한국상하수도협회 제정 상수도시설기준, 국토교통부 제정 토목공사 일반시방서 및 관련 공사시방서, 전문시방서 등에 따른다. (3) 이 시방서에 정한 사항이 공사시방서에 정한 사항과 다를 때에는 해당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 건설산업기본법 • 건설기술진흥법 • 환경분쟁조정법 • 산업안전보건법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 토양환경보전법 • 환경영향펑가법 • 지하수법 •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 • 하수관거공사 표준시방서 • 상.. 2017. 11. 1. 상수도 특수공사 쉴드TBM공사 ■ 상수도 특수공사 쉴드TBM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시방서는 터널공사 중 하천 등을 횡단하여 부설해야 할 경우의 쉴드(shield)공사에 대하여 적용한다. (2) 이 시방서에서 규정한 내용과 해당 공사시방서에서 규정한 내용이 서로 상이할 경우에는 해당 공사시방서의 규정내용이 우선한다. (3) 이 시방서는 터널의 시공과정에 필요한 전기, 설비분야 등의 기본사항을 포함하며 이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KCS 27 00 00 터널공사 표준시방서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1.3 용어의 정의 이 시방서의 용어의 정의는 KCS 27 10 05 터널공사 개요에 따른다. 1.4 제출물 시공자는 도로, 철도, 하천 등을 쉴드(shield)로 횡단하여 터널을.. 2017. 11. 1. 상수도 특수공사 수로터널공사 ■ 상수도 특수공사 수로터널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수로터널공사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한국산업표준(KS) ①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②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③ KS D 7017 용접철망 ④ KS L 5201 포틀랜드시멘트 1.3 용어의 정의 (1) 자유수면 터널 상시의 사용상태에서 계획유량이 자유수면을 갖고 흐르는 터널로서 내수압이 작용되지 않는 터널을 말하며, 하천에서의 취수터널은 대부분 자유수면터널이다. (2) 압력터널 상시의 사용상태에서 계획유량이 터널단면을 만류하는 터널로서 내수압이 작용되는 터널을 말하며, 일반의 발전용 도수터널, 저수지에서의 취수터널, 광역상수도터널 등이다. 그림 1.3-1 수리터널.. 2017. 11. 1. 상수도 특수공사 세미쉴드 터널공사 ■ 상수도 특수공사 세미쉴드 터널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상수도 관 부설을 위한 터널공사 중 세미쉴드 공법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한국산업표준(KS) (1)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2)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3) KS D 3505 PC 봉강 (4)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5) KS D 3552 철선 (6) KS D 3554 연강선재 (7)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크용접봉 (8)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 (9) KS F 2527 콘크리트용 부순돌 (10)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재 (11) KS L 5201 포틀랜드시멘트 (12)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13) KS L 52.. 2017. 11. 1. 상수도 특수공사 파이프루프공사 ■ 상수도 특수공사 파이프루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 철도, 하천 등을 추진으로 횡단하여 관로를 부설할 경우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내용 없음.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시공자는 다음 사항을 포함한 시공계획서 및 시공상세도를 제출하여야 한다. (1) 추진공과 병행할 경우 ① 파이프루프로 형성된 지보공의 안정성 검토서 ② 파이프루프 설치상세도 ③ 가이드레일 제작상세도 ④ 파이프 내 보강이 필요한 경우 보강작업계획서 ⑤ 기타 파이프루프공사에 수반되는 작업에 필요한 사항 (2) 단일 수평지보공사로 시공할 경우 ① 상기 ①의 모든 사항 ② 추진기지 등 필요한 관련 사항 2. 자재 2.1 재료 KS D 3503의 2종(SS 40.. 2017. 11. 1. 상수도 특수공사 보호관 및 철관 추진공사 ■ 상수도 특수공사 보호관 및 철관 추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 철도, 하천 등을 추진으로 횡단하여 관로를 부설하는 경우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적용한다. 이 시방서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KCS 27 00 00 터널공사 표준시방서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2.1 한국산업표준(KS) (1)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2) KS D 3506 아연 강판 (3) KS D 3565 상수도용 도복장강관 (4) KS D 3578 상수도용 도복장강관 이형관 (5) KS D 4308 수도용 덕타일주철 이형관 (6) KS D 4311 수도용 원심력 덕타일주철관 (7) KS D 7017 용접철망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1.4.1 시공계획서 (.. 2017. 11. 1.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49 다음